[비만의 사회학] [5주차-1] 음식연구가 어려운 이유와 영양주의
해당 게시물은,
K-MOOC의 <비만의 사회학> 강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출처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면, 게시물 속 사진의 출처는 강의 제공자와 동일합니다. <비만의 사회학>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박승준 교수가 강의를 제공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엄청난 고퀄리티와 신뢰성을 보장하는 내용입니다!
다만, 저는 비전공자이며 수강한 내용을 정리하는 학생 중 한 명이기 때문에, 내용에 왜곡이 되어 전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의 내용이 흥미롭다면 꼭 K-MOOC에서 고퀄리티 영상으로 다시 확인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해당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K-MOOC은 무료이며, 온라인으로 누구나 수강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 어플, 컴퓨터 둘 다 접근 가능합니다! 그러니까, 지금 이 게시물을 읽는 여러분께서도 무료로 수강 가능하시다는 의미이죠!
<비만의 사회학> 강좌 개요
- 최근 30~40년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만
- 개인의 미학적 문제, 현대사회의 주요 보건 문제
- 비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함
- 과체중 및 비만의 정의, 비만이 초래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 이해
- 전 세계적인 비만 유행의 원인을 개인적 및 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
- 환경의 변화가 비만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이해
- 비만을 조성하는 현대의 환경에서 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전략 수립
오늘의 학습목표
- 음식 연구가 어려운 이유
- 영양주의의 개념과 문제점
음식 연구가 어려운 이유
(1)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 어떠한 경우에도 그 효과가 있는 것처럼 느끼는 것
- 전체 인구의 30%는 반응자
(2) 정확한 섭취량 결정의 어려움
- 설문조사를 통해 섭취량을 결정하는 것의 한계
- 하지만 쓰레기장에서 나온 쓰레기들과 설문조사 결과가 맞지 않음 (Garbage Project(W.Rathje))
- 설문조사에선 85%의 가정이 맥주를 마신 적이 없다고 답변하였으나 쓰레기장을 확인한 결과 75%의 가정에서 맥주 캔을 발견
(3) 제로 섬 효과(Zero Sum Effect)
- 어떤 시스템이나 사회 전체의 이익이 일정하여 한쪽이 득을 보면 반드시 다른 한쪽이 손해를 보는 상태를 제로 섬 효과라고 함
- 음식에서의 제로 섬 효과란 어떤 음식을 많이 먹게 되면 그만큼 다른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말함
- 동물성 음식을 많이 먹는 집단은 관상동맥 질환과 암 발생률이 높은데 나쁜 음식인 동물성 음식을 많이 먹어서 병이 생겼는지, 아니면 좋은 음식인 채소나 과일을 많이 먹지 않아서 병이 생겼는지 고민해봐야 함
- 만약에 포화지방 섭취 감소의 효과를 입증하는 실험을 한다고 생각하면 줄인 칼로리만큼 보충하기 위해 다른 영양소로 대체해야 함. 그렇다면 제2의 변수가 도입되어 문제가 복잡해짐
"영양소별로 접근하는 영양학의 문제는 영양소에서 전체 음식의 맥락을 제거하고, 음식에서 전체 식사의 맥락을 제거하고, 식사에서 전체 생활을 제거한다는 점이다." - 매리언 네슬
확실히 어려운 문제네요. 생각해야 할 요인이 너무나도 많은 것 같습니다. 어떤 영양소를 먹어도 어떻게 먹었냐, 누구랑 먹었냐, 빨리 먹었냐 느리게 먹었냐, 해당 영양소를 섭취한 만큼 포기한 다른 영양소는 무엇이냐 등 따질게 한가득으로 보이네요!
매리언 네슬이 짚은 문제점의 예시론 로제토 효과(Roseto Effect)가 있습니다. 비만하고 술을 많이 먹는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지만, 주변 마을 사람들에 비해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낮은 미국의 로제토 마을의 특별한 현상을 로제토 효과라고 하는데요, 비만률이 비슷함에도 사망률이 낮은 이유는 다른 마을과 다르게 공동체 생활 습관이 유지되어서라고 합니다. 이렇듯 영양소만으로 접근하기엔 생활의 맥락이 끼치는 영향이 너무나도 큰 것이죠.
또, 영양에 관해 걱정하고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하면 우리의 건강 및 행복 지수가 낮아지는 반비례 관계도 있습니다. 확실히 영양소의 종류에만 지나치게 신경 쓰는 건 위험해 보입니다.
영양주의의 개념과 문제점
영양소의 정의와 발견
- 영양소란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고, 몸의 구성 성분 또는 몸의 생리기능을 조절하는 것을 일컬음
- William Prout (1785~1850)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존재를 발견
- Justus von Liebig (1803~1873)이 미네랄을 발견
- Casimir Funk (1884~1967)이 비타민의 존재를 밝혀냄
영양주의의 정의
- 영양주의는 음식을 이해하는 열쇠가 바로 영양소이며 음식은 본질적으로 영양소라는 부분들의 합이라고 주장하는 것
- 환원주의의 관점에서 음식의 영양소를 분해 및 다시 합치면 온전한 원래의 음식이 될 수 있다는 개념
- 하지만 음식에 환원주의를 적용하기엔 아직 이른데, 이의 예시로는 아직 인공우유를 만들 수 없다는 것임
영양주의와 세 가지 신화
- 첫 번째, 중요한 건 음식이 아니라 바로 영양이다.
- 두 번째, 영양은 과학자들 말고는 누구도 볼 수도, 알 수도 없어 무엇을 먹을지 결정하는 건 전문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 세 번째, 식사는 육체적 건강이라는 협소한 목표를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영양주의의 문제점
- 채소나 과일을 많이 먹는 사람들은 심장질환이나 암의 발생률이 상당히 낮다고 알려졌으나 과일과 채소에서 활성성분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분리해서 영양제로 먹는다면 큰 효과가 없음
- 음식에서 영양소를 분리하여 정제 및 추출해 먹는 행위와 음식 자체를 먹는 행위는 완전히 다르다는 얘기
마이클 폴란은 음식의 설명할 수 없는 동반상승효과에 기초해 영양주의를 비판하였다고 합니다. 치킨과 맥주가 궁합이 나쁜 음식이라고 알려져 있다는 거 알고 계시나요? 이렇게 동반상승 혹은 동반하강효과를 설명하기에 영양주의는 부족하다는 학자들의 의견입니다.
시대에 따라 달라진 나쁜 영양소
- 19세기엔 단백질이 나쁜 영양소로 인식됨
- 20세기 중후반엔 지방이 나쁜 영양소로 인식됨. 특히, 동물성 포화지방이 오명을 뒤집어씀
- 21세기엔 탄수화물이 나쁜 영양소로 인식됨. 특히, 정제된 탄수화물, 흰 쌀, 흰 밀가루, 설탕 등이 나쁜 영양소로 알려짐
따라서 강의자는 음식 자체를 하나의 전체적인 시스템으로 바라보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얘기합니다. 확실히 그렇네요!
쭉 강의를 들으며 느낀 건데 명확한 정답은 아직 없는 것 같아요. 영양제나 영양소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저희 건강하고 기쁘게 식사합시다. 그럼 안녕히! :)

K-MOOC 수강하는 법
2022.11.20 - [교양/비만의 사회학] - [K-MOOC] 질 높은 강의가 필요한데, 유튜브의 신뢰성을 믿을 수 없을 때 유용한 어플 (다운로드 및 수강신청 방법)
목차
클릭하시면 해당 게시물로 이동합니다.
1 | 점점 뚱뚱해지는 현대인 | 1. 점점 뚱뚱해지는 현대인(1) |
2. 점점 뚱뚱해지는 현대인(2) | ||
2 | 진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만 | 1. 진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만(1) |
2. 진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만(2) | ||
3 | 인간 식생활의 변화 | 1. 인간 식생활의 변화(1) |
2. 인간 식생활의 변화(2) | ||
4 |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 | 1.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1) |
2.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2) | ||
5 | 지방, 소금, 설탕을 너무 많이 먹는 현대인(1) | 1. 음식 연구의 어려움과 영양주의의 함정 [해당 게시물] |
2. 지방의 배신 | ||
6 | 지방, 소금, 설탕을 너무 많이 먹는 현대인(2) | 1. 영양제의 진실과 소금의 배신 |
2. 설탕의 배신 | ||
7 | 중간 평가 | |
8 | 먹을거리의 생산과 가공 그리고 유통 | 1. 먹을거리의 생산 |
2. 먹을거리의 가공과 유통 | ||
9 | 식품산업 | 1. 식품 산업의 주장과 고민 |
2. 소비자의 선택과 광고의 영향 | ||
10 | 렙틴과 인슐린 | 1. 렙틴과 인슐린(1) |
2. 렙틴과 인슐린(2) | ||
11 | 비만과 운동 | 1. 비만과 운동(1) |
2. 비만과 운동(2) | ||
12 | 비만이 초래하는 문제들 | 1. 내장 지방은 왜 해로운가? |
2. 비만의 신체적·사회적 영향 | ||
13 | 비만의 치료 | 1. 비만의 여러 치료 방법 |
2. 호르몬 환경을 바꿔라! | ||
14 | 비만의 해결책 | 1. 공중보건 개입의 필요성 |
2. 비만세와 비만 관리 대책 | ||
15 | 최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