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만의 사회학] [4주차] 잡식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GMO) 본문
해당 게시물은,
K-MOOC의 <비만의 사회학> 강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출처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면, 게시물 속 사진의 출처는 강의 제공자와 동일합니다. <비만의 사회학>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박승준 교수가 강의를 제공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엄청난 고퀄리티와 신뢰성을 보장하는 내용입니다!
다만, 저는 비전공자이며 수강한 내용을 정리하는 학생 중 한 명이기 때문에, 내용에 왜곡이 되어 전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의 내용이 흥미롭다면 꼭 K-MOOC에서 고퀄리티 영상으로 다시 확인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해당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K-MOOC은 무료이며, 온라인으로 누구나 수강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 어플, 컴퓨터 둘 다 접근 가능합니다! 그러니까, 지금 이 게시물을 읽는 여러분께서도 무료로 수강 가능하시다는 의미이죠!
<비만의 사회학> 강좌 개요
- 최근 30~40년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만
- 개인의 미학적 문제, 현대사회의 주요 보건 문제
- 비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함
- 과체중 및 비만의 정의, 비만이 초래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 이해
- 전 세계적인 비만 유행의 원인을 개인적 및 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
- 환경의 변화가 비만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이해
- 비만을 조성하는 현대의 환경에서 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전략 수립
오늘의 학습목표
- 잡식 동물의 딜레마
- 음식 문화의 의미와 중요성
- 유전자 변형 식품(GMO)의 정의 및 전세계의 GMO 재배 현황
- GMO의 용도와 표시제
이번 강의는 크게 두 가지의 주제,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GMO로 나뉩니다!
잡식 동물의 딜레마
- 인간은 잡식동물
- 잡식동물의 딜레마란 음식 선택에 대한 원초적인 두려움을 뜻함
- 어떤 음식이 좋고 어떤 음식이 나쁜지 알려 주는 본능적 감각이 거의 없음
- 즉, 무엇이든 먹을 수 있지만, 무엇을 먹어야 할지를 아는 방법은 없음
예를 들어, 버섯이 식용인지 독버섯인지 구분 불가하니 산에서 버섯 보이면 무조건 먹지 말라고들 하죠. 엄청난 풍요로움을 자랑하는 현대 사회의 먹을거리 속에서 막상 몸에 좋은 먹을거리를 찾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음식 문화의 의미와 중요성
- 잡식동물의 딜레마를 이겨낸 방법
-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언제, 누구와 먹을지가 바로 식문화
- 하지만 이제 식문화가 점점 없어지고 과학자, 식품판매업자 등에게 권위가 넘어가고 있음
인간은 오랫동안 전문가의 조언 없이 식문화를 통해 딜레마를 잘 이겨냈으나 현대에는 음식을 먹는 일도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지난 게시글에서 패스트푸드의 문제점으로 식문화 소실이 있었는데 이렇게보니 더 심각한 문제였네요.
유전자 변형 식품(GMO)의 정의
전통적 교배 육종 vs. 유전자 재조합 기술(=유전자 변형 식품=GMO)
전통적 교배 육종 | 유전자 변형 식품(GMO) |
병에 약하나 맛이 좋은 벼와 병에 강하나 맛이 없는 벼를 교배시켜 병에 강하고 맛 좋은 품종을 얻음 | 병에 약하나 맛이 좋은 벼에 병에 강한 배추 유전자를 넣어주면 병에 강하고 맛 좋은 품종을 얻음 |
방울토마토, 씨 없는 수박, 슈퍼옥수수, 인공 씨감자 등 |
GMO 재배 및 우리나라의 GMO 소비 현황
- 미국과 브라질이 압도적
- 한국은 재배는 하지 않고 수입만 함
- 식량 자급률이 낮은 우리나라(콩 10%, 옥수수 1%)
- 수입 대상국(미국, 브라질 등)이 대량의 GMO 재배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직접 재배하진 않아도 필연적으로 소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네요. 하지만 GMO에 대해 깊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 평소에 인지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그렇게 높진 않은 것 같아요.
GMO의 용도
- GMO를 가공 없이 그냥 먹는 사례는 별로 없음
- GMO는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나 가축 사료용으로 사용됨
- GMO 콩: 콩기름, 이유식 등 단백질 강화제품
- GMO 옥수수: 전분, 과당, 물엿, 올리고당, 옥수수차, 팝콘, 시리얼 등
- GMO 카놀라: 카놀라유
- GMO 면화: 마가린, 샐러드유 등
한국의 GMO 표시제
- 대두, 옥수수, 면화, 카놀라, 사탕무, 알팔파 6종 유전자 변형 농산물만이 표시대상
- 국내 식용 GMO의 대부분은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며, 가공 후 유전자 변형 DNA, 단백질이 남아 있지 않다면 GMO 표시를 면제
- 유전자 변형 사료를 섭취한 동물에서 추출한 식품은 면제
- 438개 제품 중 2개(시리얼 제품과 미소 제품)만이 GMO를 표시함
K-MOOC 수강하는 법
2022.11.20 - [교양/비만의 사회학] - [K-MOOC] 질 높은 강의가 필요한데, 유튜브의 신뢰성을 믿을 수 없을 때 유용한 어플 (다운로드 및 수강신청 방법)
목차
클릭하시면 해당 게시물로 이동합니다.
1 | 점점 뚱뚱해지는 현대인 | 1. 점점 뚱뚱해지는 현대인(1) |
2. 점점 뚱뚱해지는 현대인(2) | ||
2 | 진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만 | 1. 진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만(1) |
2. 진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만(2) | ||
3 | 인간 식생활의 변화 | 1. 인간 식생활의 변화(1) |
2. 인간 식생활의 변화(2) | ||
4 |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 | 1.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1) [해당 게시물] |
2.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2) [해당 게시물] | ||
5 | 지방, 소금, 설탕을 너무 많이 먹는 현대인(1) | 1. 음식 연구의 어려움과 영양주의의 함정 |
2. 지방의 배신 | ||
6 | 지방, 소금, 설탕을 너무 많이 먹는 현대인(2) | 1. 영양제의 진실과 소금의 배신 |
2. 설탕의 배신 | ||
7 | 중간 평가 | |
8 | 먹을거리의 생산과 가공 그리고 유통 | 1. 먹을거리의 생산 |
2. 먹을거리의 가공과 유통 | ||
9 | 식품산업 | 1. 식품 산업의 주장과 고민 |
2. 소비자의 선택과 광고의 영향 | ||
10 | 렙틴과 인슐린 | 1. 렙틴과 인슐린(1) |
2. 렙틴과 인슐린(2) | ||
11 | 비만과 운동 | 1. 비만과 운동(1) |
2. 비만과 운동(2) | ||
12 | 비만이 초래하는 문제들 | 1. 내장 지방은 왜 해로운가? |
2. 비만의 신체적·사회적 영향 | ||
13 | 비만의 치료 | 1. 비만의 여러 치료 방법 |
2. 호르몬 환경을 바꿔라! | ||
14 | 비만의 해결책 | 1. 공중보건 개입의 필요성 |
2. 비만세와 비만 관리 대책 | ||
15 | 최종 평가 |
'교양 > 비만의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만의 사회학] [5주차-2] 저지방 식단? 저탄고지 식단? 이는 일종의 실험이다 (0) | 2023.01.01 |
---|---|
[비만의 사회학] [5주차-1] 음식연구가 어려운 이유와 영양주의 (0) | 2022.12.30 |
[비만의 사회학] [3주차-2] 비만촉진제 코카콜라와 비만의 수출 (0) | 2022.12.26 |
[비만의 사회학] [3주차-1] 먹는 음식만으로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 (0) | 2022.12.24 |
[비만의 사회학] [2주차-2] 여성이 남성보다 뚱뚱하다?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