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만의 사회학] [1주차-2] 비만은 전염병이다. 본문

교양/비만의 사회학

[비만의 사회학] [1주차-2] 비만은 전염병이다.

문어인형 2022. 12. 7. 09:00

해당 게시물은,

K-MOOC의 <비만의 사회학> 강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출처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면, 게시물 속 사진의 출처는 강의 제공자와 동일합니다. <비만의 사회학>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박승준 교수가 강의를 제공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엄청난 고퀄리티와 신뢰성을 보장하는 내용입니다! 

다만, 저는 비전공자이며 수강한 내용을 정리하는 학생 중 한 명이기 때문에, 내용에 왜곡이 되어 전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의 내용이 흥미롭다면 꼭 K-MOOC에서 고퀄리티 영상으로 다시 확인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해당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K-MOOC 무료이며, 온라인으로 누구나 수강
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 어플, 컴퓨터 둘 다 접근 가능합니다! 그러니까, 지금 이 게시물을 읽는 여러분께서도 무료로 수강 가능하시다는 의미이죠!

 

<비만의 사회학> 강좌 개요

  1. 최근 30~40년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만
  2. 개인의 미학적 문제, 현대사회의 주요 보건 문제
  3. 비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함
  4. 과체중 및 비만의 정의, 비만이 초래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 이해
  5. 전 세계적인 비만 유행의 원인을 개인적 및 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
  6. 환경의 변화가 비만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이해
  7. 비만을 조성하는 현대의 환경에서 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전략 수립

오늘의 학습목표

  1. 비만의 정의와 분류 체계를 이해할 수 있다.
  2. 비만은 유행성 질환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3.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의 비만 증가 양상을 이해할 수 있다.
  4. 소아 비만의 심각성을 이해할 수 있다.
  5. 가난과 비만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비만의 정의와 분류 체계

비만이란? 건강에 위험을 줄 수 있는 과도한 양의 지방이 체내에 쌓여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이를 정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 BMI(체질량지수): 비만 분류에 가장 널리 사용하는 지표이나 지방과 근육, 민족 간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해 한계가 있습니다.
  • 허리둘레: 허리둘레는 복부비만을 의미하며 내장지방이 많다는 의미가 되므로 이를 기준으로 삼는 건 적절합니다.

출처: Pixabay

그래서, 비만은 실제로 유행성 질환인가?

2014년 세계보건기구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합니다.

비만은 21세기 신종전염병이다.

근거가 무엇일까요?

 

  • 지난 25년 간의 비만 유병률의 증가 정도는 1980년대 이전의 비만 유병률 자료로는 예상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 둘째, 비만 유병률에서 일어난 최근의 변화는 ‘유행성 질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이라는 건, 비만 인구가 최근 30~40년간 급격히 증가한 시기를 일컫습니다. (1980년대 후) 

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코로나와 같이 바이러스로 인해 옮는 것만을 '전염'이라 칭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비만이 전염병이라니, 놀랍지 않나요? 제겐 너무 충격적인 사실이었습니다. 

출처: Pixabay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비만

선진국(미국)

  • 성인 100명 중 약 40명이 비만으로 OECD 국가별 비만율 1위 (참고로 OECD 평균은 19.5%)
  • 아래의 그래프를 보면 미국을 필두로 1980년대 이후에 비만율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을 일컬어서 비만의 대국, 비만의 원조 국가라고 표현한다고 합니다. 만약에 미국 사람들이 뚱뚱해지지 않았다면 우리가 지금 비만 문제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었다고 얘기하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개발도상국

1980년도엔 선진국보다 개도국의 비만 인구가 많았으나, 2008년 조사 결과에선 역전되어 개도국의 비만 인구 선진국보다 더 많다고 합니다!

[사진] OECD Obesity Update 2017
[사진] 정보 출처: 미국질병통제센터

소아 비만

전 세계의 비만 아동이 1975년에 비해 40년 만에 10배 증가했다고 합니다. 대체 80년대에 무슨 일이 있던 걸까요?

 

가난과 비만

가난할수록 비만율이 높다고 합니다. 이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미국이 있습니다. 미국 내 비만율이 높은 주의 1위부터 8위의 공통점은 남부이며 높은 빈곤율을 보인다고 합니다! 왜일까요?

 

가난과 비만을 뗄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는, 식단을 다양화하는 데 돈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사진을 참고하면 더 직관적으로 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같은 1600Kcal을 채우는데 필요한 음식들 사진입니다. 왼쪽의 패스트푸드 몇 개와 오른쪽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골고루 분포된 식단의 가격을 비교하면 어떨까요? 전자는 16,000원, 후자는 160,000원 정도 할 거 같습니다.

여러분의 식단은 어디에 더 가까우신가요? 이를 보니 확실히, 왜 비만에 사회학이 필요한지 점점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해당 강의에선, 최근 증가하는 현대사회의 비만은 개인에게만 책임을 물을 수 없고, 우리가 사는 사회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제가 느끼기에도 맞는 말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 원인이 정말 어디에 있는 걸까요? 이는 앞으로의 게시물 혹은 K-MOOC에서 확인해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K-MOOC 수강하는 법

2022.11.20 - [교양/비만의 사회학] - [K-MOOC] 질 높은 강의가 필요한데, 유튜브의 신뢰성을 믿을 수 없을 때 유용한 어플 (다운로드 및 수강신청 방법)

 

목차

클릭하시면 해당 게시물로 이동합니다.

1 점점 뚱뚱해지는 현대인 1. 점점 뚱뚱해지는 현대인(1) 
2. 점점 뚱뚱해지는 현대인(2) [해당 게시물]
2 진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만 1. 진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만(1)
2. 진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만(2)
3 인간 식생활의 변화 1. 인간 식생활의 변화(1)
2. 인간 식생활의 변화(2)
4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 1.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1)
2. 잡식 동물의 딜레마와 유전자 변형 식품(2)
5 지방, 소금, 설탕을 너무 많이 먹는 현대인(1) 1. 음식 연구의 어려움과 영양주의의 함정
2. 지방의 배신
6 지방, 소금, 설탕을 너무 많이 먹는 현대인(2) 1. 영양제의 진실과 소금의 배신
2. 설탕의 배신
7 중간 평가
8 먹을거리의 생산과 가공 그리고 유통 1. 먹을거리의 생산
2. 먹을거리의 가공과 유통
9 식품산업 1. 식품 산업의 주장과 고민
2. 소비자의 선택과 광고의 영향
10 렙틴과 인슐린 1. 렙틴과 인슐린(1)
2. 렙틴과 인슐린(2)
11 비만과 운동 1. 비만과 운동(1)
2. 비만과 운동(2)
12 비만이 초래하는 문제들 1. 내장 지방은 왜 해로운가?
2. 비만의 신체적·사회적 영향
13 비만의 치료 1. 비만의 여러 치료 방법
2. 호르몬 환경을 바꿔라!
14 비만의 해결책 1. 공중보건 개입의 필요성
2. 비만세와 비만 관리 대책
15 최종 평가